미소칼럼

보기
제목 교정치료 후 유지장치
작성자 김영원원장 등록일 2018.1.22 조회수 52566

성공적 교정 치료를 위한 세가지 지표는 기능-function’, ‘심미-esthetic’, ‘안정-stability’입니다. 발음, 저작 등의 구강계 기본 기능을 갖추어야 하며 더불어 가지런한 치열 및 교합 관계와 주위 조직과의 조화를 통해 보기 좋은 상태가 되도록 하고, 최종적으로는 기능과 심미가 조화된 상태를 오랜 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것이죠. 치열 교정과 관련된 속설로 치료 후 원래대로 돌아간다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으실 텐데, 이와 관련하여 이번 칼럼에서 언급하고자 하는 주제는 바로 교정 치료의 마지막 단계인 유지-retention’입니다.

 

유지(retention)의 교과서적인 정의는 교정 치료에 의해 이동된 치아 또는 악골 관계를 그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며, 정적 교정 치료(Static Orthodontic Treatment)라고도 한다입니다. 치아와 주위 조직의 생물학적 반응에 따른 실질적 이동을 동적 교정 치료(Dynamic Orthodontic Treatment)라고 하는데 반해 유지 단계는 말 그대로 (동적 교정) 치료 후 완성된 상태의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안정화 시키는 단계이며, 회귀 현상을 막아주기 위해 수동적 방법을 이용한 교정 치료의 연장선 상에 있는 것입니다.

교정 치료 후 유지 단계가 꼭 필요한 이유는 원래대로 돌아가려는 회귀 현상을 일으키는 원인과 관련이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새로운 위치에서 치은(잇몸) 및 치주 조직의 재형성

2. 점막, 근육 등 변화된 연조직 압력

3. 성장에 의한 변화

따라서 이러한 원인에 의해 완성된 치열에 가해지는 힘을 차단하는 것이 유지를 위한 조건일 것입니다.

1. 치은(잇몸) 및 치주 조직에 의한 보정

교정 치료는 단기간에 치조골 변화 유발하므로 치주조직(치주인대, 치은, 치조골 등)의 적응 기간 필수적이며 새로운 위치에서 조직 내 섬유가 재형성될 수 있도록 CSF(circumferential supracrestal fiberotomy)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설명: http://www.oralhealthgroup.com/issues/image.aspx?src=/daily_images/72049-27498.jpg&size=170
설명: http://www.pittsburghdentalimplants.com/_media/procedural_images/fiberotomy.jpg
설명: http://snudentist.com/Tboard/latestnews/latestnews14_1.jpg

 

 

 

 


2. 저작 근육, , 안면 주위 근육 등에 의한 보정

교정 치료를 통해 치아를 이동시킴으로써 기존의 평형을 깨뜨리게 되는데, 치료 후 주위 근육과 치열 간 균형이 이루어져야 회귀 현상 및 변화가 최소화되므로 새로운 위치에서의 적응 기간 필요하며 부정 교합의 유형 및 치료 방법과 연관하여 유지 장치의 종류 및 장착 기간이 설정됩니다.

3. 악습관 제거

성장기 부정 교합의 발생에 요인이 되는 좋지 않은 습관들이 고쳐지지 않는 한 재발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혀 내밀기나 손가락 빨기 등의 제거를 위해 특수한 장치를 이용하기도 합니다.

 

긴밀한 교합 관계의 형성을 통해서도 어느 정도 유지가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위와 같은 필요성과 목적의 달성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부가적인 장치가 필요합니다. 그러면 널리 쓰이는 유지 장치의 종류와 그 적용 대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고정성 설측 유지 장치

치아 안쪽면에 부착하는 기본적인 장치로서 개별 치아의 생리적 치아 동요도를 허용하는 꼬임 철사-triple helix wire’를 이용하여 개별 제작합니다. 아래 앞니 배열 유지, 치료 전 벌어져 있던 공간을 폐쇄한 경우, 발치 교정 치료 후 등에 많이 쓰이며 가장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이나 치석 침착이 잘 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설명: http://www.crossboworthodontic.com/idb%20lingual%20lower%20after.jpg

2. Hawley retainer

기본적인 형태의 가철식 장치로 제작이 간단하고 여러 형태로 응용이 가능하여 1920년대 이후로 현재까지도 널리 사용하고 있으며 심하지 않은 부정교합 치료 후 그리고 성장기 청소년에게 적용됩니다.

설명: http://www.drbenfong.com/images/hawley_retainer_2.jpg

3. Wrap-around retainer

 Circumferential retainer라고도 불리우며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장치입니다. Hawley retainer와 유사한 형태이나 어금니 부위의 바깥쪽이 와이어에 고루 접촉하며 씹는 면 위로 지나가지 않아 유지의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한 줄의 긴 철사를 이용하여 수제작하기가 어렵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설명: http://www.retainerlab.com/pages/100_2180.JPG

4. 투명 유지 장치

주로 임시 장치로 사용되는데 형태가 단순하여 이물감이 적고 투명 플라스틱 필름을 치아 모형 위에 진공 압착하여 제작합니다. 심미적이지만 열이나 외력에 약합니다.

설명: invisalign그림1

설명: http://www.dentallab260.com/uploads/1_46_Chin%20cap00.jpg마지막으로 청소년의 성장 조철 치료 후 잔여 성장이 예상되거나 턱뼈의 개선된 위치를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 교정 치료 시 사용하였던 장치를 유지 기간 동안 활용하기도 합니다.

 

설명: http://www.orthoarnhem.nl/embed/activator1.jpg

 

 

 

 

 


유지 장치를 착용하는 기간 중에도 정기적 내원 및 관찰이 필요한데 이는 교합 안정도, 유지 장치 협조도, 재발 유무 및 정도 등의 확인을 위한 것이며 일반적으로 3~6개월 간격으로 이루어집니다

  • 이전글
  •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